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92)
1-4. 용액의 전도도 측정 (Kohlrausch bridge, 콜라우슈 브릿지) Kohlrausch bridge, 콜라우슈 브릿지 미지의 저항 값(Rx)을 찾는데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공식은 R1 x Rx = R2 x R3 입니다. 쉽게 찾을 수 있겠죠. 원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C 지점의 전압과 D지점의 전압차를 이용해 계산하는데 Vc - Vd가 0 일때 수식을 풀어보면 R1 x Rx= R2 x R3 라는 공식이 나옵니다. 자세한 풀이는 하단에 유투브 영상에 첨부 하였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qAM_wQ35ow
1-3. 전기화학 기초 (용어 정리) 전기화학에서 다양한 용어가 나옵니다. 황산구리의 전해액에서 전기분해를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전기저항 R[Ω] 저항은 단면적 A에 반비례하고 기리 L에 비례한다 P : 저항률, 비저항 [Ω-㎝] L : 도체의 길이 A : 도체의 단면적 비전기도율 k [S/㎝] 그리스 문자 : K (카파) 전기밀도 : 단위면적에 흐르는 전류, 1A/dm2으로 표기 하면 ASD라고 한다. : 1dm2 = 10cm x10cm 전기량계 : 전기분해 과정에서 실제 사용된 전기량으로, 이론은 100% 지만 실제로는 저항에 의해 100% 보다 낮은 효율을 나타 냅니다. 쉽게 도금 공장의 전력계라고 생각하세요. 전류효율 : C.E% (Current efficiency) : 실제 사용된 전기의 양 / 이론적 계산된 전기의 양 X..
1-2. 전기화학 기초 (산화, 환원, 페러데이 법칙) 표면처리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기화학의 기본적인 이론은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전해질에서의 산화와 환원 반응과 흐르는 전류의 양과 석출되는 금속의 양은 비례한다는 페러데이 법칙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전해질에서의 산화와 환원 반응 아래 그림과 같이 황산5% 수용액에 백금 전극에 직류 전원은 걸어주면 양극과 음극의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양극반응 / Anode (산화반응) 2OH- → 1/2O2 ↑ + H2O + 2e- 음극반응 / Cathode (환원반응) 2H2O + 2e- → H2 ↑ + 2OH- ● 전해질의 역활은 물에 이온으로 녹아 전하를 운반, 순수 물은 이온이 없어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 양극에서 전자를 내어주고 : 산화반응 (양극) ● 음극에서 전자를 얻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