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돈되지] 수입과 지출 파악하자

728x90
반응형

돈이 되는 지식의 돈되지 입니다.

앞으로 금융 관련글은 [돈되지] 카테고리에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은 투자에 필요한 적정 종잣돈을 얼마라고 생각하세요? 오백? 이천? 일억? 많을 수록 기대하는 수익금이 크겠지만 종잣돈을 만들 때 필요한 시간도 많이 소요 됩니다.

 쉽게 눈 덩이를 굴려 눈 사람을 만든다고 생각해 봅시다. 처음 손으로 뭉친눈이 종잣돈이 되고 이 눈 덩이를 눈밭에 굴려 크게 만드는 것이 재테크가 되겠습니다

 처음 이 눈덩이 종잣돈을 어떻게 하면 빠르고 많이 모을 수 있는가 오늘 알려드리겠습니다. 가장 처음 할 일이 수익과 지출 확인 입니다.

1. 수입 확인 하기 :  연말 정산 자료 및 통장 입출금 내역으로 수입 내역을 1년 기준으로 파악합니다. 

 ■ 근로 소득 (월급) : 4대 보험 가입된 직장
 

 ■ 근로 소득 (알바) : 
   - 대리 운전 (카카오 드라이버) 

   - 택배 알바 (쿠팡 플랙스)

   - 배달 대행 (쿠팡 이츠, 배민 라이더)

   - 기타 알바 

■ 불로소득 

   - 임대 소득 (월세)

   - 이자 소득 (적금, 보험, 

   - 주식 소득 (매년 3월 결산 진행)

2. 지출 파악 하기 : 연말 정산 자료 및 통장 입출금 내역으로 지출 내역을 1년 기준으로 파악합니다. 

 ■  통신비 
   - 휴대폰 인터넷

   - 유튜브 프리미엄, 넷플릭스, 왓차, 웨이브 등등

 ■ 교통비 

   - 자동차 할부, 보험, 유지 관리비 (매년 차 값의 1%)

   - 교통카드 

   - 하이패스

 ■ 생활비 

   - 식비, 외식 

   - 쇼핑 

   - 기타 모든 지출

■ 세금

   - 재산세, 자동차세, 종합소득세 등 별도로 신고하는 세금

   종부세 (종부세 내시는 분들은  뒤로 가기 눌러주세요~ )

 

3. 수익과 지출 한눈에 알아보기 : 한 번에 조회 가능한 자산관리 어플이 편리하지만 수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엑셀에 입력해주세요.   

 ■ 엑셀에 입력 : 아래와 같이 소득과 지출 항목을 엑셀에 정리하여 소득의 가장 큰 항목은 무엇인지 지출에서 가장 크게 차지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보고 개선해야 하니다.

 

 - 근로 소득의 비중이 높다 예) 직장인 (고위험) 

 - 고정적인 근로 소득이 없다 예) 프리랜서 (고위험)
 

 - 근로 소득 : 불로 소득 비율이 1 : 0.5 이상이다  (안정적)

   : 소득의 90% 이상이 근로 소득인 직장인들은 퇴직에 대한 불안감 클 것입니다. 투잡을 통해 월급 외 소득을 늘리고 늘어난 소득을 불로소득 쪽으로 투자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1억 모으기 프로젝트를 달성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 가야 할 방향은 근로 소득을 줄이고 불로 소득을 높이는 방향입니다. 이 방향은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실천으로 보여 드리겠습니다.

년간 수익을 보기 쉽게 도표로 정리

년간 소득을 엑셀에 입력하여 비중을 확인 

 

년간 지출을 보기 쉽게 도표로 정리

년간 지출을 엑셀에 입력하여 비중을 확인 

 

엑셀이 없으면 구글 스프레드시트 활용하세요 : 구글에서 구글 스프레드시트 검색

 

 ■ 자산관리 어플 사용 : 어플을 이용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나 필요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없으니 엑셀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페이, 뱅크셀러드, 토스 등 저는 카카오페이 사용 중입니다.

자산과리 어플을 통한 수익과 지출 확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