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되는 지식의 돈되지 입니다.
앞으로 금융 관련글은 [돈되지] 카테고리에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은 투자에 필요한 적정 종잣돈을 얼마라고 생각하세요? 오백? 이천? 일억? 많을 수록 기대하는 수익금이 크겠지만 종잣돈을 만들 때 필요한 시간도 많이 소요 됩니다.
쉽게 눈 덩이를 굴려 눈 사람을 만든다고 생각해 봅시다. 처음 손으로 뭉친눈이 종잣돈이 되고 이 눈 덩이를 눈밭에 굴려 크게 만드는 것이 재테크가 되겠습니다
처음 이 눈덩이 종잣돈을 어떻게 하면 빠르고 많이 모을 수 있는가 오늘 알려드리겠습니다. 가장 처음 할 일이 수익과 지출 확인 입니다.
1. 수입 확인 하기 : 연말 정산 자료 및 통장 입출금 내역으로 수입 내역을 1년 기준으로 파악합니다.
■ 근로 소득 (월급) : 4대 보험 가입된 직장
■ 근로 소득 (알바) :
- 대리 운전 (카카오 드라이버)
- 택배 알바 (쿠팡 플랙스)
- 배달 대행 (쿠팡 이츠, 배민 라이더)
- 기타 알바
■ 불로소득
- 임대 소득 (월세)
- 이자 소득 (적금, 보험,
- 주식 소득 (매년 3월 결산 진행)
2. 지출 파악 하기 : 연말 정산 자료 및 통장 입출금 내역으로 지출 내역을 1년 기준으로 파악합니다.
■ 통신비
- 휴대폰 인터넷
- 유튜브 프리미엄, 넷플릭스, 왓차, 웨이브 등등
■ 교통비
- 자동차 할부, 보험, 유지 관리비 (매년 차 값의 1%)
- 교통카드
- 하이패스
■ 생활비
- 식비, 외식
- 쇼핑
- 기타 모든 지출
■ 세금
- 재산세, 자동차세, 종합소득세 등 별도로 신고하는 세금
종부세 (종부세 내시는 분들은 뒤로 가기 눌러주세요~ )
3. 수익과 지출 한눈에 알아보기 : 한 번에 조회 가능한 자산관리 어플이 편리하지만 수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엑셀에 입력해주세요.
■ 엑셀에 입력 : 아래와 같이 소득과 지출 항목을 엑셀에 정리하여 소득의 가장 큰 항목은 무엇인지 지출에서 가장 크게 차지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보고 개선해야 하니다.
- 근로 소득의 비중이 높다 예) 직장인 (고위험)
- 고정적인 근로 소득이 없다 예) 프리랜서 (고위험)
- 근로 소득 : 불로 소득 비율이 1 : 0.5 이상이다 (안정적)
: 소득의 90% 이상이 근로 소득인 직장인들은 퇴직에 대한 불안감 클 것입니다. 투잡을 통해 월급 외 소득을 늘리고 늘어난 소득을 불로소득 쪽으로 투자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1억 모으기 프로젝트를 달성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 가야 할 방향은 근로 소득을 줄이고 불로 소득을 높이는 방향입니다. 이 방향은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실천으로 보여 드리겠습니다.

년간 소득을 엑셀에 입력하여 비중을 확인

년간 지출을 엑셀에 입력하여 비중을 확인

엑셀이 없으면 구글 스프레드시트 활용하세요 : 구글에서 구글 스프레드시트 검색
■ 자산관리 어플 사용 : 어플을 이용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나 필요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없으니 엑셀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페이, 뱅크셀러드, 토스 등 저는 카카오페이 사용 중입니다.

자산과리 어플을 통한 수익과 지출 확인